오늘은 지인이 LED 다이 시,
저항 계산법하는 방법에 대하여 물어봤습니다
설명을 위해 사진을 찍고 카톡을 보내던 도중,
이왕 사진을 찍은김에 정리하고자 글을 씁니다 ㅎ
예전 포스팅들에서 공조기 LED 색을 변경하거나
윈도우 스위치 LED 색을 변경하거나 할 때,
직접 LED 를 구매하여 교체한 적이 있습니다.
LED 나 저항이 개당 50~200원 정도밖에 하지 않기 때문에
앗세이로 부품을 바꾸는 것보다 효율적 이었습니다.
설명을 위해 사진을 첨부합니다 ㅎ
간단하게 회로도에 표시할 기호는 위 사진의 왼쪽 기호와 같구요
왼쪽 기호에 대한 설명은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ㅎㅎ
그림은... 뭐... 이해해 주세요 ㅠㅠ
일반적인 자동차의 배터리는 12V 배터리를 사용합니다
따라서, 12V 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릴텐데
간혹 배선을 딴 부분에 5V 전압이 걸리는 부분도 있고
3.3 V의 전압이 걸리는 부분도 있습니다.
현재 도선에 몇 볼트가 걸리는지는 멀티미터로 체크해보셔야 하는데
멀티미터 사용법은 다음에 시간이 될때, 다시 포스팅 하겠습니다 ㅎ
먼저 12V의 전압이 걸리는 배선에 3파이 LED 한 발은 연결하는 것을
예로 들어 보겠습니다.
보통 고휘도3파이 LED 들을 검색하셔서 쇼핑몰들에서 스펙을
확인해 보시게 되면 파랑, 흰색 등등 3.3V 에 20mA 라는
문구를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
해당 스펙이 LED 한발에서 허용가능한 전압과 전류 입니다.
학창시절 배운
V = IR
공식을 대입해서 (?) 쳐져있는 저항을 구해 보겠습니다.
현재 도선에 걸리는 총 전압 V는
12V 에 3.3 V 를 제외한 8.7V(12V - 3.3V) 가 걸리게 됩니다.
I 는 20mA, 즉 0.02A 필요합니다.
위의 수식을 필요한 저항을 계산하는 수식으로 변경해 보면
R = V/I
따라서, 저항 R = 8.7 / 0.02 = 435Ω
12V 가 걸리는 배선에 해당 저항값의
저항(혹은 저 값이 조금 넘는 저항)과 LED 에 납땜하시거나 연결하시면 끝! 입니다 ㅎ
만약 다른 전압이 걸리더라도 같은 공식에 그대로 대입하셔서
작업하시면 됩니다 ㅎ
추가로 LED 한 개가 아닌 여러개를 연결하고 싶으신 분들도
충분히 계실꺼라고 예상되는데
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ㅎ
먼저 직렬로 LED 를 연결하는 방법 입니다.
직렬로 2개를 연결하게 되면
12-(3.3 +3.3) = 5.4V
그리고 필요 저항은 5.4/0.02 = 270 Ω 이 필요합니다 ㅎ
그런데 이런식으로 4개만 연결하게 되어도
13.2V 로 배터리의 전압을 초과하게 됩니다 ㅎ
배터리 전압 한계량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만 직렬 연결이 가능합니다 ㅎ
두번째 방법은 병렬연결입니다
병렬로 연결하게 되면 각각 나뉘어진 도선에 걸리는 전압이 12V 가 됩니다
따라서, LED 마다 435 Ω 의 저항이 필요합니다 ㅎ
장점은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LED 보다 많이 연결이 가능하겠죠
대부분의 자동차 배터리들의 전류량은 LED 하나에 흐르는 전류량의
몇 백에서 몇 천배는 되기 때문에
DIY 정도로 연결할 LED 갯수에 크게 신경을 쓰시지 않고
연결하셔도 무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ㅎ
5V, 9V, 12V, 24V 등등 다양하게 도선에 걸리는 전압과
단위 LED 의 허용전압, 허용전류를 확인하시고
공식에 잘 대입하셔서 다이 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ㅎ
그럼 이만 허접한 3파이, 5파이 LED DIY 방법에 대한
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ㅎ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(하트) 버튼을 꾹!
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
자동차 먼지 제거용 기름걸레 만들기 (0) | 2020.04.01 |
---|---|
더 뉴 K3 16년식 번호판 등을 LED로 교체하기 (2) | 2020.01.21 |
QM6 펠트지 도어커버 붙이기 및 사용 후기 (0) | 2020.01.20 |
QM6 프론트 하단 범퍼 셀프 복원하기 (0) | 2020.01.19 |
QM6 풋등 무드등 달기 (8) | 2020.01.12 |